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28

5. RxSwift Subject

1. Hot Observable vs Cold Observable Observable은 Hot Observable과 Cold Observable로 크게 2가지 종류로 나뉜다. Hot Observable Hot Observable은 Observable을 생성하자마자 아이템들을 방출해준다. 따라서 Observable을 생성해도 Subscribe를 하지 않았다면 Item을 방출하기 때문에 아무런 결과가 안나온다. Subscribe를 할 때 방출한 아이템부터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Observable의 생성 시점과 Subscribe의 호출 시점이 중요하다. 마우스 이벤트, 키보드 이벤트, 시스템 이벤트에서 주로 사용된다. Cold Observable Cold Observable은 Hot Observable과 반..

RxSwift 2021.10.03

4. RxSwift Operator(2)

1. Combining Operators StartWith 이벤트를 방출하기 전 startWith의 파라미터 값 이벤트를 첫번째로 방출한다. 2개 이상 사용가능하며 마지막으로 사용한 startWith의 파라미터부터 방출한다. let bag = DisposeBag() let numbers = [1, 2, 3, 4, 5] Observable.from(numbers) .startWith(-1, 0) .startWith(-2) .subscribe { print($0) } .disposed(by: bag) // -2 // -1 // 0 // 1 // 2 // 3 // 4 // 5 예제를 보면 가장 마지막에 호출한 startWith의 파라미터인 -2부터 방출된걸 알 수 있다. Concat concat은 2개 이상의..

RxSwift 2021.09.30

3. RxSwift Oporator(1)

1. Operator란? Operator은 Observable을 생성하거나 변환해주는 도구이다. String에서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해주는 lowercased(), 배열에서 배열이 비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isEmpty처럼 Observable에서도 다양한 연산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Operator이다. 아래 ReactiveX의 링크를 보면 Operator의 종류가 다 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오늘은 가장 많이 쓰이는 Operator들을 정리할 예정이다. 나머지 Operator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 자세하게 나와있고 내용이 너무 없거나 간소화 되어 있는 함수들은 RxJava나 RxJS 탭에 가서 검색을 하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http://reactivex.io/..

RxSwift 2021.09.07

2. RxSwift Observable이란?

1. 개요 보통 RxSwift로 프로젝트를 짰다고 하면 RxSwift 프레임워크와 RxCocoa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MVVM 디자인 패턴으로 짜여진 프로젝트를 말한다. RxSwift는 코드를 새로운 데이터에 반응하며 순차적으로 처리하게 함으로써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쉽게하도록 도와준다. 한마디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RxCocoa는 RxSwift의 동반 라이브러리로써 UIKit과 Cocoa 프레임워크 기반 개발을 지원하는 모든 클래스를 보유하고 있다. 말 그대로 UI component 요소들을 RxSwift로 만든 함수와 연결시켜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는 2개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하는 것인데 이 2가지를 완벽하게 사용할려면 우선 RxSwift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http://..

RxSwift 2021.09.02

1. RxSwift란?

1. RxSwift Rx는 Reactive eXtensions의 줄임말로 관찰 가능한 시퀀스를 사용하여 비동기식 프로그램 및 이벤트 기반 프로그램을 구성하기위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이다. Micorsoft 사에서 만든 라이브러리로 swift 뿐만 아니라 Java, JS, .NET 등 많은 언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기존의 비동기 이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만든 라이브러리인데, Swift에서는 언어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DispatchQueue를 이용해서 비동기 함수를 짰었다. 하지만 이 함수로 작성을 하게되면 내용이 적으면 상관이 없지만 내용이 많으면 많을 수록 코드가 복잡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부분 때문에 RxSwift를 사람들의 관심을 ..

RxSwift 2021.08.23

10. 응용 SW 기초기술 활용

운영체제처리능력, 반환시간, 사용가능도, 신뢰도 Windows의 특징GUI선점형 멀티테스킹PNPOLE : 각기다른 문서에 자유롭게 연결 UNIX특징-AT&T 벨 연구소에서 공동 개발한 운영체제-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 오픈소스-이식성이 높음-트리구조의 파일시스템시스템의 구성-커널 : 프로세스, 기억장치, 파일, 입·출력 관리, 프로세스 간 통신,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 행한다.-쉘 :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기억장치 관리 전략반입전략, 배치전략, 교체전략 가상기억장치페이징 기법 :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 후 나눠진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기법세그먼테이션 : 가상 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한 크기로 나눈후 ..

정보처리기사 2021.07.12

9.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구축

서비스 거부 공격PoD : 큰 사이즈의 패킷을 의도적으로 목표시스템으로 발생시켜 시스템이 서비스 할 수 없는 상태SYN 플러딩 : TCP 프로토콜의 구조적인 문제를 이용한 공격티어드롭 : IP 패킷의 재조합 과정에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수신시스템이 문제를 발생하도록 만드는 DoS 공격랜드 어택 : 출발지 IP와 목적지 IP를 같은 패킷 주소로 만들어 보냄으로써 시스템의 가용성을 침해하는 공격기법DDos 공격 : Dos의 또 다른 형태로 여러 대의 공격자를 분산 배치하여 동시에 동작스머핑 :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한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보냄으 로써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의 상태를 불능 으로만드는공격방법네트워크 침해 공격 관련 용어SQL 삽입 : 사용자의 입력값 등 외부 입력값이 SQL 쿼리에 삽입되어 공격A..

정보처리기사 2021.07.11

8. SQL 응용

데이터베이스- 통합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운영데이터- 공용데이터 클러스티드 인덱스 테이블 : 기본키나 인덱스키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가 저장되는 테이블프로시저절자형 SQL을 활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트랜잭션 언어. 일련의 SQL 작업을 포함하는 데이터 조작어를 수행.실행부 언어-COMMIT: 하나의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끝나고, 데이터베이스가 일관성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하나의 트랜잭션이 끝났을 때 사용하는 연산-ROLLBACK: 하나의 트랜잭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트랜잭션 원자성이 깨질 경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부분적으로 연산을 취소하는 연산 트리거특정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 변경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그와 관련된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튜닝 : 데이터 베이스 시스..

정보처리기사 2021.06.13

7.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기본원리- 파레토 법칙 : APP의 20%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전체 80%의 결함이 발견된다.- 살충제 패러독스 :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로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하면 더 이상의 결함을 발견할 수 없다.- 오류-부재의 궤변 : 결함이 없는 프로그램이라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면 좋은 프로그램이 될 수 없다.- 브록스의 법칙 : SW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새로운 개발 인력을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투입할 경우 일정이 더욱 지연된다.-테스팅은 정황 의존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특징, 테스트 환경, 테스터 역량 등 정황 (Context)에 따라 테스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 로, 정황에 따라 테스트를 다르게 수행해야 함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분류 시각의 따른 테..

정보처리기사 2021.06.12

6. 화면 설계

UI 요구사항 확인UI 개념넓은 의미에서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물리적, 가상의 매개체. 좁은 의미로는 정보 기기나 소프트웨어의 화면 등에서 사람이 접하게 되는 화면.UI 유형CLI : 정적인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GUI : 그래픽 반응 기반 인터페이스NUI : 직관적 사용자 반응 기반 인터페이스. 신체 부위를 이용.OUI : 유기적 상호작용 기반 인터페이스. 현실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입출력장치로 변화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설계 원칙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함유효성 : 정확하고 완벽하게 사용자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학습성 : 초보와 숙련자 모두가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게 제작유연성 :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최대한 포용하고..

정보처리기사 2021.06.07
반응형